China/→ 山 東
칭다오(靑島)의 해군박물관(海軍博物館)을 가다.
우리팬
2008. 3. 4. 09:15
青岛 海军博物馆 입구.
바깥에 있는 사진을 잘 봐야한다.-_-; |
입장료는 인민폐 20元. 적당한 듯. |
지난번 칭다오의 루쉰공원(鲁迅公园)에 가서 대강 구경을 마치고, 조금만 더 내려가니까 눈에 바로 띄었던 곳이 바로 이 青岛 海军博物馆(칭다오 해군박물관)이라는 곳이었다. 근처에 해양대학도 있고, 뭐 그려러니 했고, 또 목적지였던 栈桥까지 갈 시간이 남아있었기 때문에, 또한 당시 일행은 모두 군미필의 남정네였다는 점에서, 이 곳에 굳이 20元 이라는 입장료를 내고 들어가게 되었던 것이다.
개인적으로 나는 대한민국 해군출신이다.-_- 물론 관심이 갔긴 했다만, 해군 나온 사람들, 특히 배 좀 타본 사람들, 다시 그 배를 보고 싶기나 할까나.-_-;;; 별 기대 가지지 않고, 일단 들어가봤다. 얼마나 군사용 제품(?)들을 공개를 해놨을까나... 치장을 해놨을까나.
초행길이었고, 또 아무런 안내표지판이 없어 여길까, 저길까 긍긍하며 내리막길을 내려가고 있었는데, 촌스러운 색상의 비행기나 미사일답지 않은 철덩이들 보이자, 슬 불안이 엄습해왔다. 설마... 흐.흐.흐. 그 불안은 나중에 정말 현실로 다가왔고, 개인적으론 출구를 나서기 전에 잠시 들린 전시실외엔 아무런 소득없이 발품을 팔아야만 했다. 게다가 이 군미필 아해들이 어찌나 신나해 하던지-_- 사진 찍어주기 바빴으니 원. 흠흠.
해군 출신인지라 포에 대해선 잘 알지 못한다. 배를 탔을 때에도, 대게 포는 병기병들이 다루던 금역이었고, 나 역시 M16 한자루도 귀찮았던지라-_- 제대한지 7년이 지난 시점에서도 아무런 관심이 가지 않았다. 하물며 촌시헌 자태, 버려진 철덩이들이 아닌가 의심되는 중국제들이 무슨 관심을 유발시켰겠는가.-_-+ 포나 탱크 위에는 소학교에 들어가기 전의 나이로 보이는 아해들이 신나게 놀고 있었다. 그에 반해 정박(?)되어 있는 함정들은 눈길이 좀 갔다. 고속정이니, 우리나라로 치면 PCC급 함정에 직접 올라가기도 했는데, 실내는 출입이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역시나 거기도 사람이 사는거 같더라만.-_-;;;
이 배는 사못 어디서 많은 본 배다, 싶었는데 서해교전 당시 북한의 고속정과 닮았다.
해군서점, 안에는 책보다는 음료와 기념품이 팔더라고. |
10元을 더 주고 표를 사면 잠수정에도 들어갈 수 있다. |
우리나라 해군의 함정들 중, 2차대전때 미군이 쓰다가 넘긴 것들이 적지 않은데, 중국도 역시 소련제가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 같았다. 물론, 지금이야 양국 모두 자력으로 함정들을 생산하겠지만, 옛날엔 좀 그랬잖수. 함정에 들어가서 함교에도 올라가보고, 왔다리 갔다리 해봤는데... 실내를 볼 수 없었다는 것이 가장 아쉬웠다. 해군 박물관에 들어와서 함정 안 견학을 할려면 10元짜리 잠수정 입장표를 사는 방법밖에 없다.
이제 함정 견학 끝. |
매점도 이런 식으로 만들어놨더라만. |
박물관 입구쪽에 있는 전시실. |
헐~ -_- 무시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