常德 4

湖南 米粉(쌀국수)의 표준, 常德津市米粉.

일반적인 한국인에게는 '쌀국수'라는 음식을 생각하면 베트남부터 생각할 것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쌀국수 하면 떠오르는 곳은 바로 중국의 湖南省 常德이다. 米粉, 소위 중국내에서의 쌀국수가 유명한 지역은 쌀생산량이 많은 남방지역인 湖南省(호남성), 桂林(계림) 그리고 米粉이 아닌 米线으로 유명한 云南省(운남성)이라 볼 수 있을 듯. 米线은 중국의 전국각지에 云南过桥米线와 비슷한 이름의 간판을 건 조그나만 식당들이 많아서 쉽게 찾을 수 있긴하다. 언젠가 유학생들이 과음 후 다음날 아침으로 이 저렴하고,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米线店을 찾아 해장을 한다, 라는 얘기도 있었는데, 개인적으로는 비추... 뭐, 역시나 일전에 포스팅한 兰州拉面처럼, 쌀가루를 가지고 면반죽을 하면서 화학약품 뭐를 넣네마네 하면서 米..

China/→ 湖 南 2025.03.26

'擂茶'(레이차)를 다시 한번...!

중국에 장기간 생활을 했던 외국인이라 할지라도, 그래도 중국에 대해선 다 알지 못한다. 워낙 땅이 크고, 사람들도 많고, 별에 별 지역마다의 풍속에, 사투리에... 괜히 중국인들이 외국인에게 "你是中国通啊~"라고 말할 때가 있는데, 결코 객관적인 칭찬이 아닌... 주관적이고도 매우 과장된 아부성 발언이라 할 수 있다. 나는 그런다, "哪里有中国通? 给我带过来." 그렇다, 나는 4가지가 없다.-_-+ 나의 표현 역시 과장됨이 없지 않아 있지만, 그만큼 복잡한 나라가 중국이다, 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절대 아는 체는 하지 않기로 했다.-_- 아니, 내가 직접 보고, 듣고, 느끼고, 겪은 일에 대해서만 얘기를 한다. 역시나, 이 곳도 확인되지 않은 무수한 소문들이 많기에. 하여간... (이 얘기를 할려던게..

China/→ 湖 南 2017.07.10

중국의 '擂茶'(레이차)를 아시나요...!?

올초 湖南 常德(호남성 창더) 라는 도시를 난생 처음 방문했을 때, 재미난 문화를 접한 적이 있다. 아무래도 개인적으로 중국의 역사에 대해 관심이 적지 않으니, 단순히 이 '창더'라는 도시의 옛 이름은 武陵이다, 라는 것만 알고도 매우 신기해 했는데, (삼국지 매니아라면 뇌리 속에 있음직한) 도착 후 이틀날에는 '擂茶' (레이차) 라는 것을 먹으러 가게 되었다. 사실 짧지 않은 중국생활을 해오고 있지만, 중국의 차(茶)를 그리 즐겨 마신 적이 없기 때문에, 처음 제안을 받았을 때에는 아니, 점심때 왜 찻집에 간단 말이냐... 하고 그리 탐탁지 않게 생각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이 말은 결국 점심먹으러 가자는 애기더라고. 그럼 이 문제의 레이차, 라는 것은 과연 어떤 차인가, 사부자기 찾아보면... ..

China/→ 湖 南 2015.10.15

이 정도는 되어야 양꼬지!

곰곰히 돌이켜 생각해보면, 한국내에서 일명 중국식 '양꼬지(羊肉串, 양뤄추안)'라는 것이 유행된 것이 아직 10년은 되지 않았을 듯 싶다. 그러니까, 06년에 중국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서 동네마실을 나갔다가 우연찮게 조선족 교포가 하는 양꼬지 가게를 본 적이 있어 포스팅한 적이 있다. 이후 별다른 기회가 없어 지나치기만 하다가, 간단히 한잔을 하기 위해 朴군과 찾은 메뉴를 '양꼬지'로 정했으니… (朴군은 생애 첫 양고기 시식이었다지비.) 이때까지도 매니아(?)들만 찾던 메뉴가 바로 양꼬지였다. 그 이후로 1,2년이었나… 일단 대학가를 중심으로 양꼬지 가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이제는 개그맨의 '유행어'가 나올 정도로 보편적(?)이 되어버렸다. 뭐라더라… '양꼬지엔칭다오'던가, '칭다오엔양꼬지'던가..

China/→ 中 國 2015.06.02
1